LCC라 하는 것은 Low Cost Carrier 저가항공을 뜻하는 말로 항공 기내의 서비스가 적은 대신에 적은 운임으로 운행하는 항공사입니다. 이러한 저가항공은 미국에서 1990년대초 처음으로 고안되어 유럽으로 전달되었고 이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저가항공사라는 개념이 21세기 초반에 도입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지난 7월 일본이 한국을 수출 규제 백색국가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를 시키면서 한국과 일본의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일본에 대한 불매운동이 일어나면서 일본여행금지라는 타이틀로 이러한 저가항공에 직격탄을 맞게 됩니다. 7월 이전까지는 국내 TV프로그램이나 여행사 상품들이 주로 일본에 대한 것들이 상당히 많이 있었습니다.
전년 대비 40% 이상 한국인 관광객이 감소하면서 일본내의 여행지나 일본 정부 자체의 목표관광객수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영향을 미치는 기업군으로는 저가항공사라 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항공사에 비해서 저가 항공사가 더 치명적인 영향을 받는 이유로는 저가항공사의 경우 다소 가까운 국가간의 항공상품이 많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LCC 저가항공 관련주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K홀딩스
애경그룹의 지주회사로 제주항공을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제주항공
애경그룹의 항공사업을 영위하는 저가항공사 입니다.
티웨이홀딩스
티웨이항공을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티웨이항공
티웨이홀딩스의 항공사업을 영위하는 저가항공사입니다.
예림당
티웨이홀딩스, 티웨이항공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기업입니다.
한진칼
대한항공의 투자사업부문 지주회사로 진에어를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을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HDC현대산업개발이 매입한 소식이 있습니다.
HDC현대산업개발
금호아시아나로부터 아시아나항공을 매입한 기업입니다.
국내 대표적인 LCC 저가항공사는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진에어, 이스타항공 등이 있습니다. 제주항공은
애경그룹이 모기업으로 최근 아시아나 본입찰 대상자에는 실패하였지만 항공기 수량도 다 저가항공사에 비해 많으며 제주항공을 통해서 LCC 사업을 잘 영위하고 있습니다. 티웨이항공은 예림당, 티웨이홀딩스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저가항공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진에어는 한진칼 즉 대한항공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에어부산은 아시아나가 모회사로 에어부산의 주인이 어느쪽으로 바뀌는가 상황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스타항공의 경우 새만금관광개발이 모회사로 상장되지 않았다는 것을 참고해야합니다.
지소미아 관련주 종료와 조건부 연기에 대한 시장 영향 (0) | 2019.11.23 |
---|---|
김진표 관련주 차기 국무총리 후임설이 사실이라면 (1) | 2019.11.23 |
겨울왕국2 관련주 관객수 예매율 역대급 (0) | 2019.11.22 |
이재명 관련주 대법원 판결일 내년으로 테마주 (0) | 2019.11.22 |
화성 국제테마파크 관련주 송산그린시티 신세계 대규모사업 추진 (0) | 2019.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