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은 Volume Ratio의 약자로 가상현실 Virtual Reality와 혼돈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Volume Ratio의 VR은 등하락의 주가 거래량을 백분비로 나타내 주가분석을 위한 보조지표로 활용되어집니다. 앞서 말씀드렸던 OBV가 증권시장에서 추세를 예측하는데 잘 활용하는 투자자들도 있지만 누적된 거래량으로 된 분석 보조지표이기 때문에 주가 예측에 한정적인 것을 보완하기 위해서 VR이 고안된 지표입니다.
VR 또한 거래량을 이용한 지표인데 주식거래량의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주가 상승을 보인 영업일의 거래량과 주가 하락을 보인 영업일의 거래량을 백분비로 나타내 일반적으로 VR 지표가 150%면 보통, VR 지표가 300% 초과시 강세, VR 지표가 450% 초과시 과열이라고 분석을 해볼 수 있습니다. 반면 VR지표가 100%면 약세, VR지표가 70% 이하가 나오면 바닥권이라고 예측을 해볼 수 있다. 즉, 현재 주가이 고점으로 볼 수 있는지 저점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보조지표로 활용되는 수단이라 할 수 있습니다.
VR 지표가 100% 나올 경우에 상승한 날과 하락한 날의 거래량이 동일한 값이기 때문에 거래량 급등락에는 큰 변화는 없지만 단타 세력이나 일반적인 개인투자자들의 물량들이 오고 갔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본 지표의 계산에서는 25일~30일의 거래일의 거래량 누계를 계산했다는 것을 참고해야합니다.
OBV에서 주가 변동이 없는 보합권의 흐름을 보일 때의 거래량을 고려 하지 않는다는 분석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VR이 고안된 것으로 현재 시장에서 과열되고 천장권의 상황인지, 침체되고 바닥권에 있는 상황인지를 판단의 수단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보조지표입니다.
하지만 VR과 달리 OBV에서 나타내는 지표들이 있기 때문에 OBV를 활용한다면, VR을 활용한다면 두 보조지표의 교차로 확인하면서 분석하는 것이 정확도를 올리는 것에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VR 보조지표를 활용 해보신 분들도 잘 아시겠지만 VR 보조지표가 주가 분석을 위한 100% 정확도를 가지고 있는 척도 아닙니다. 주가 흐름이라는 것이 국내외 전반적인 시장의 흐름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이며, 차트에서 보이는 지표와 달리 기업의 내부적인 상황이 좋을 수 도 나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이렇듯 다양한 조건들에 주가 방향은 어떻게라도 쉽게 달라질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VR 보조지표의 통계적인 분석과 해당 지표 외의 보조지표들을 조합해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한 주식 분석의 방향임을 말씀드립니다.
· 대표적인 거래량 지표의 OBV 주가 흐름을 예측해봅니다.
·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이동평균선의 기본은 알고 투자해봅시다.
통신장비 관련주 핸디소프트와 관련 종목들의 움직임에서 (0) | 2019.12.02 |
---|---|
블록체인 관련주 가상화폐 이상의 다양한 신사업 (0) | 2019.11.30 |
주식 이동평균선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0) | 2019.11.30 |
주식과 코인에서의 거래량 보조지표 OBV (0) | 2019.11.30 |
ETF란? 의미와 펀드란? (0) | 2019.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