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각도사

이동평균선은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 흐름 값을 기간별로 연결해 만든 선입니다. 흔히 단기적으로 5일선, 10일선, 20일선 / 중기 60일선 / 장기 120일선의 이동평균선을 가장 많이 활용을 합니다. 이동평균선을 계산해 나타내 볼 때 5일선의 기준으로는 해당 날짜를 포함한 5일간의 주가 흐름을 합해 5로 나누면 그 값이 나오는데 매일매일 그 값을 하나의 선으로 연결해서 나타낸 값이 5일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0일, 20일, 60일, 120일선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해 나타나게 됩니다. 120일선의 경우 해당날짜를 포함한 120일간의 주가 흐름을 합해 120으로 나누고 그 값을 매일나온 값을 선으로 연결한 것이 이동평균선입니다. 


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


주가의 이동평균선은 전반적인 주가 흐름을 판단하고 앞으로의 주가 추이나 추세를 전망하는데 활용 되어지는 주식시장에서의 대표적인 기술지표입니다. 하지만, 투자자들마다 이동평균선을 절대적으로 필수인것만은 아니라는 점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여러 투자자들마다 분석하는 기법이나 지표들이 있지만 이동평균선을 차트에서 아예 배제해 분석하는 투자자들도 있다는 사례도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의 활용 


골든크로스 : 주가의 이동평균선이나 거래량의 이동평균선에서 단기선이 중장기선을 뚫고 돌파하며 오르는 현상을 흔히 골든크로스라고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의 의미를 강력한 강세장으로 전환한다는 신호로 흔히 많이 받아들여집니다. 보통 단기골든크로스는 단기이동평균 5일선과 20일선이 서로 교차하면서 돌파하는 것을 말하며, 중기골든크로스로는 20일선과 60일선의 교차 돌파, 장기골든크로스는 60일선과 120일선의 교차 돌파를 말합니다. 이러한 골든크로스가 발생할 때 거래량이 많이 나오게 되면 강세장으로 전환 가능성을 높게 예측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골든크로스만 가지고 상승을 유추하기에는 리스크가 다분히 있기 때문에 골든크로스가 나올 때에 각종 시장 지표나 거래량, 기업내 상황 등 여러가지를 고려해야할 부분들이 있습니다. 


데드크로스 : 골든크로스와 반대로 주가 이동평균선이나 거래량의 이동평균선에서 단기선이 중장기선을 아래로 뚫고 이탈하는 현상을 흔히 데드크로스라고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의 의미를 하락세로 전환한다는 신호로 흔히 많이 받아들여집니다. 골든크로스와는 반대로 기간이 짧은 선이 기간이 긴 이동평균선을 아래로 뚫고 이탈하며, 데드크로스가 발생할 때 거래량이 많이 나오게 되면 약세장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높게 예측을 합니다.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는 마찬가지로 앞으로의 주가 흐름을 예측을 하는데 100% 신뢰할 수 있는 지표가 아니기 때문에 참고적으로 염두를 해서 각종 다른 지표들과 함께 분석을 하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이동평균선


추가적으로 주가의 흐름이 이동평균선을 닿으면서 지지를 받고 상승을 하거나 반대로 저항을 받고 하락을 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하락하는 주가 흐름에서 이동평균선의 지지를 받고 재반등을 하려는 성향이 있으며, 반대로 상승하려는 주가 흐름이 이동평균선의 저항을 받고 하락으로 내려가려는 성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주가 흐름 성향을 이해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주식에서는 경우의 수가 상당히 많기 때문에 명확한 분석과 통찰력이 필요로 합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